각 나이대별 추구해야 할 자산 목표 : 금융자산
각 나이대별로, 어떤 수준의 금융자산을 목표로 하는 것이 현실 적인 것인가에 대해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담아 보았습니다. 물론 쉽지 않은 길이지만, 요새 20~30대에 유행하는 YOLO를 버리고, 50대에 달성할 수 있는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기 위한 길을 권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자산을 불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로드맵을 아래와 같이 제시해보려 합니다.
20대 : 천만원
- 학자금 대출을 갚고 천만원 종자돈 마련
- 주택 청약을 들기 시작할 것
- 이 나이 때 가장 중요한 투자는 자기 자신의 스펙을 올리는데 집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 학업에 힘쓰고, 스펙을 쌓고 면접을 보면서 스스로를 쌓아 올릴 것.
30대 : 1억원
- 취업 후 qqq등 안정적인 지수 투자로 자산증가. 개인이 노력해도 qqq를 이기기는 쉽지 않으며, 아직 나이가 젊은 시기이므로, 지수 레버러지인 qld와 1:1 비중으로 투자하는 것도 가능한 시기임. 스스로 얼마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스타일인지에 대해 인지하고,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을 찾아 내야 함.
(현업에 집중 필요. 개별주 비중은 30% 이내)
- 주택 청약 담청되면 경기도 내부 역근처 접근성 좋은 아파트를 국가 지원 혜택을 받아서 내집 마련
-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화려하게 살기보다 내실을 다지는 것이 중요.
- 특히 재테크와 의기투합할 수 있는 배우자를 얻을 수 있다면 그것이 가장 큰 자산이 됨.
- 여전히 직장 내에서 퍼포먼스를 관리하는 것이 일순위가 되어야 함. 그러나 30대 후반부터는 체력과 활동성이 떨어질 나이므로, 운동과 건강관리 병행
40대 : 5억원
- 가족끼리 합심하여 자산 증가 : 가족끼리 합심해서 똘똘 뭉치면 자산의 증가속도가 단순히 2배가 아니라 2.5 배 그 이상이 될 수가 있음.
- 어린 자녀들에 대해서도, 공부를 하는 것도 좋지만, 자본주의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을 병행 : 세상에 공짜는 없으며, 스스로 자산 증식을 위해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그 방법을 알려 줌으로써, 현재 경쟁 사회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지 같이 탐색해주는 것이 필요함.
- 이제 건강이 중요하므로, 가족끼리 함께 운동할 수 있는 여건, 그리고 웰빙을 즐기는 것도 노후를 위한 투자임.
- 부동산 상급지로 갈아타기 : 누구나 알 수 있는 좋은 부동산을 급매 나온 것으로 한번에서 두번 갈아타는 것 추천.
- 개별주와 배당주에 대한 확신이 생기면 비중을 늘리 돼 50% 는 지수투자 유지.
50대 : 20억원
- 20대 자녀들은 대학공부시키고 결혼하고 부동산마련 자금 지원까지만... 그 이후는 니들 알아서... 이부분에 대해 상호 협의가 되어 있어야 함. 경제적 권리를 자녀에게 보내는 순간부터 내 자신의 행복이 불투명해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함.
- 부동산 처분 후 spy로 전체 자산의 50프로를 구성(안정성이 매우 중요해 짐)
- 지금까지 공부해온 배당주와 가장 우량한 자산 일부 개별주로 적절히 안정적인 자산 구성.
* lmt hsy blk adc amt cci apd 등 우량한 배당주 위주로 자산 구성
- 월별 배당 수익이 300만원 이상이 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한 현금흐름을 늘리고, 배당금을 안정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상태로 나아가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음. 특히 가족간의 관계에서도 경제적인 계약 또는 맺고 끊음이 확실해야 하며, 함께 자본주의를 위한 공동체로서 잘하면 잘하는데로, 못하면 못하는 데로 함께 똘똘 뭉쳐서 헤쳐 나가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좋은 모습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이 과정에서 누군가는 시작점이 다르거나, 누군가가 개별주 투자로 10배 이상을 벌었다는 이야기도 나올 수 있는데, 핵심은 남의 매수매도나 남의 자산을 시기 질투하는 것이 아니라 내 인생과 내 자산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해 집중하고 자신이 지수 투자를 잘한다고 생각하면, 지수에, 그리고 배당주를 선별하고 현금흐름을 늘리는 것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면 해당 배당주 투자에, 그리고 성장주를 선별하고 장기 투자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면, 어느 한 종목에 몰빵하지 말고 7~10개의 후보군을 놓고 분산해서 장기투자하는 방향으로 가면 장기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투자를 이어나갈 수가 있게 됨.